🌱 ESG의 기원과 발전: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여정

🌍 ESG의 기원과 발전: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여정

요즘 뉴스나 기업 보고서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합니다. “ESG는 언제부터 중요해졌을까? 어떻게 지금처럼 글로벌 스탠다드가 됐을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ESG의 기원부터 현재까지, 반세기에 걸친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해볼게요. 환경을 지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투명하게 운영되는 기업 경영의 뿌리를 함께 살펴보죠!

🌱 1970~1980년대: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성 개념의 시작

  • 1970년: 미국에서 ‘지구의 날(Earth Day)’ 제정. 캘리포니아 해상 원유 유출 사고를 계기로, 환경 보호에 대한 전 세계 시민 의식이 높아졌습니다.
  • 1972년: 로마클럽 『성장의 한계』 보고서. 무한 성장은 불가능하다는 경고로, 경제 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 1987년: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 등장. UN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우리의 공동미래』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성 개념을 공식화했습니다.

🔧 1990~2000년대: ESG 개념의 탄생과 제도화

  • 1989년: 엑슨발데즈호 기름 유출 사건. 역대 최악의 해양 오염 사고로, 환경 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적 경각심이 커졌습니다.
  •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규정하며 기후 대응을 제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 2000년: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출범. 인권·노동·환경·반부패를 중심으로 한 10대 원칙이 제시됐고, ESG의 토대가 마련됐습니다.
  • 2005년: ESG라는 용어 공식 등장. UNGC의 ‘Who Cares Wins’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ESG라는 용어가 제안되었습니다.
  • 2006년: UN 책임투자원칙(UNPRI) 제정. 금융권도 ESG를 반영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기준이 만들어졌고, 이는 오늘날 ESG 투자로 이어집니다.

🚀 2010년대 이후: 글로벌 규범으로 성장한 ESG

  •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 UN SDGs.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제한하고,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선언했습니다.
  • 2017년: TCFD 권고안 발표. 기후변화 관련 정보 공개를 정식 요구하며, ESG 공시 기준이 탄탄해지기 시작했습니다.
  • 2020년: 블랙록의 대전환 선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ESG 요소를 자산운용에 적극 반영하고, 화석연료 기업 투자 제한을 선언했습니다.
  • 2023년: ISSB ESG 공시 기준 발표. 전 세계 ESG 정보 공개 기준을 통합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출범하며, ESG는 글로벌 규범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정리하며: 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ESG는 이제 기업의 생존 전략입니다. 환경을 파괴하고,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며, 지배구조가 불투명한 기업은 더 이상 시장에서 신뢰를 얻을 수 없습니다.

투자자도 소비자도 ESG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정부도 법과 제도를 통해 기업에 ESG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제 ESG는 ‘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Post a Comment